‘욕망, 삶의 동력인가 괴로움의 뿌리인가’- 불교 TV 방영 > 불광소식

함께하는 불광지혜를 닦고 자비를 실천하는 신행공동체 불광


‘욕망, 삶의 동력인가 괴로움의 뿌리인가’- 불교 TV 방영


페이지 정보

작성자 불광사 작성일2008.07.11 조회14,720회 댓글0건

본문

 

 

“삶의 원동력” 욕망은… “번뇌의 뿌리”

밝은사람들硏, 제5회 학술연찬회

<사진> 지난 6월 14일 한국불교역사문화기념관 지하 공연장에서 열린 제5회 불교상담 학술연찬회



불교 심리 철학 등 다양한 분야 학자들 토론




“욕망은 모두 소멸시켜야 하는 부정적인 존재인가, 아니면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원동력인가.”

불교학자, 서양철학자, 생물학자 등 학계 전문가들이 한 자리에 모인 가운데 인간 삶의 궁극적 화두인 ‘욕망’의 실체에 접근하고 해법을 찾는 학술토론의 장이 마련돼 눈길을 끌고 있다.

밝은사람들 연구소(소장 박찬욱)가 ‘욕망, 삶의 동력인가 괴로움의 뿌리인가’라는 주제로 지난 14일 한국불교역사문화기념관 지하 공연장에서 개최한 제5회 학술연찬회가 바로 그것이다. 이번 행사는 불교, 심리학, 철학, 생물학을 전공한 학자들이 한 자리에 모여 욕망을 주제로 각각 발제와 함께 열띤 토론을 벌였다.

이날 선불교의 입장에서 욕망을 풀이한 이덕진 창원전문대 교수(장례복지과)는 “욕망에서 비롯된 생사번뇌는 수행의 기회를 제공하기도 한다”면서 “선불교는 욕망을 가진 인간이 영위하는 삶 그 자체가 부처의 삶이며, 욕망이 적나라하게 드러나는 세상 그 자체가 불국토”라고 욕망의 긍정적 측면을 강조했다. 초기불교 입장에서 발제한 정준영 서울불교대학원대 교수(불교학과)는 감각적 욕망인 카마(kama), 집착적 탐욕인 라가(raga), 사랑을 갈구하는 탄하(tanha), 의욕을 의미하는 찬다(chanda) 등 욕망을 4가지 형태로 고찰하고 “초기불교는 모든 욕망을 부정하지 않았는데, 오늘날은 욕망을 부정적인 것으로만 여기는 경향이 있다”고 지적했다.

서양철학 전반에 걸친 욕망문제를 다룬 박찬국 서울대 교수(철학과)는 욕망을 억제하는 입장과 해방하려는 입장 그리고 이들 양자를 지양하는 니체의 철학을 살펴봤다. 그는 “서양철학 전통에는 금욕주의적인 철학을 극복하기 위해 고민해 온 전통이 있다”면서 “이러한 전통을 모두 부정할 것이 아니라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은 배워야 한다”고 밝혔다.

우희종 서울대 교수(수의학과)는 진화발생생물학의 관점에서 인간과 동물의 욕망을 비교한 발제문에서 “동물의 경우 쾌락이 충족되면 욕망이 소멸되지만 인간의 쾌락은 충족됨에 따라 오히려 강화된다”면서 “욕망의 실체를 파악하고 스스로 변한다면, 욕망은 더 이상 고통이 아닌 삶의 동력이 될 것”이라고 역설했다. 권석만 서울대 교수(심리학과)는 발제문을 통해 “심리학에서 욕망은 잘 조절하여 활용하면 삶의 원동력이 될 수 있고, 조절에 실패하면 괴로움의 뿌리가 될 수 있다”며 욕망이 인간의 삶에 미치는 긍정적, 부정적 영향을 고찰했다.

허정철 기자 hjc@ibulgyo.com


[불교신문 2436호/ 6월21일자]

 

 

<욕망, 삶의 동력인가 괴로움의 뿌리인가>를

    불교TV 에서 총 8회에 걸쳐 방영합니다.

 

 

방영일자는 아래와 같습니다.

 

불교TV 홈페이지(http://btni.co.kr)에서 다시보기도 가능합니다.

 

교재 <욕망, 삶의 동력인가 괴로움의 뿌리인가> (도서출판 운주사)

 

 

회차

방  영  일  시

내   용

1

 

 7.  9(수) 07:30  23:00     7. 12(토) 03:15  14:30  

 

초기불교

2

 

 7. 16(수) 07:30  23:00     7. 19(토) 03:15  14:30 

 

유식불교

3

 

 7. 23(수) 07:30  23:00     7. 26(토) 03:15  14:30 

 

선 불 교

4

 

 7. 30(수) 07:30  23:00     8.  2(토) 03:15  14:30 

 

서양철학

5

 

 8.  6(수) 07:30  23:00     8.  9(토) 03:15  14:30 

 

심 리 학

6

 

 8. 13(수) 07:30  23:00     8. 16(토) 03:15  14:30 

 

생 물 학

7

 

 8. 20(수) 07:30  23:00     8. 23(토) 03:15  14:30 

 

종합토론

8

 

 8. 27(수) 07:30  23:00     8. 30(토) 03:15  14:30 

 

종합토론

 

 


서울시 송파구 백제고분로 39길 35(석촌동 160–1번지)불광사 TEL. 02)413-6060FAX. 02)413-6781 링크트리. linktr.ee/bulkwangsa Copyright © 2023 BULKWANGSA. All rights reserved.